언제인가부터 일본과 우리나라에서는 3월 14일이 사랑 고백의 날이 되었다.
하지만 서구에서는 3월 14일을 다른 날로 기억한다. ‘파이 데이’(Pi Day).
지난해 3월 14일, 구글 첫 페이지에 등장한 구글 두들(Google Doodle). 원주율 파이(π)를 상징하는 둥근 이미지로 구글 로고를 변형, 파이 데이를 기념했다.
원주율 파이라 함은 원둘레의 길이를 지름으로 나눈 값으로 π=3.14159….를 나타낸다.
그리스어로 둘레를 뜻하는 ‘περιμετροζ’의 첫 글자에서 유래된 원주율 기호, 파이는 고대 이집트의 책 ‘린드 파피루스’, 구약성서에도 등장하는 원주율 값이며, 기원전 3세기 수학자 아르키메데스, 18세기 수학자 오일러 등은 원주율의 기원에 관련한 다양한 해석들을 내놓은 바 있다.
파이데이는 그 중 프랑스의 수학자이자 선교사인 자르투가 원주율 3.14를 고안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됐으며, 미국의 한 수학 동아리에서 가장 먼저 파이데이 행사를 시작했다.
2009년에는 미국 하원이 파이데이를 공식 기념일로 지정, 미국에서는 매해 3월 14일 파이와 발음이 같은 파이(pie)를 굽거나 먹고, 둥근 팔찌를 만드는 등 다양한 ‘파이데이’ 행사를 열고 있다.
국내에서는 일부 학교와 과학관 등을 중심으로 수학 관련 행사가 열리고 있으며, 2017년에는 교육부가 이날을 ‘수학과 친해지는 날’로 정하기도 했다.
사이언스타임즈
하지만 서구에서는 3월 14일을 다른 날로 기억한다. ‘파이 데이’(Pi Day).
지난해 3월 14일, 구글 첫 페이지에 등장한 구글 두들(Google Doodle). 원주율 파이(π)를 상징하는 둥근 이미지로 구글 로고를 변형, 파이 데이를 기념했다.
원주율 파이라 함은 원둘레의 길이를 지름으로 나눈 값으로 π=3.14159….를 나타낸다.
그리스어로 둘레를 뜻하는 ‘περιμετροζ’의 첫 글자에서 유래된 원주율 기호, 파이는 고대 이집트의 책 ‘린드 파피루스’, 구약성서에도 등장하는 원주율 값이며, 기원전 3세기 수학자 아르키메데스, 18세기 수학자 오일러 등은 원주율의 기원에 관련한 다양한 해석들을 내놓은 바 있다.
파이데이는 그 중 프랑스의 수학자이자 선교사인 자르투가 원주율 3.14를 고안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됐으며, 미국의 한 수학 동아리에서 가장 먼저 파이데이 행사를 시작했다.
2009년에는 미국 하원이 파이데이를 공식 기념일로 지정, 미국에서는 매해 3월 14일 파이와 발음이 같은 파이(pie)를 굽거나 먹고, 둥근 팔찌를 만드는 등 다양한 ‘파이데이’ 행사를 열고 있다.
국내에서는 일부 학교와 과학관 등을 중심으로 수학 관련 행사가 열리고 있으며, 2017년에는 교육부가 이날을 ‘수학과 친해지는 날’로 정하기도 했다.
사이언스타임즈
댓글
댓글 쓰기